• Skip to content
  • Skip to secondary menu
  • Skip to primary sidebar
  • Skip to footer

ㅍㅍㅅㅅ

필자와 독자의 경계가 없는 이슈 큐레이팅 매거진

  • Home
  • 스타트업
    • 마케팅
    • 투자
  • 시사
    • 경제
    • 국제
    • 군사
    • 사회
    • 언론
    • 역사
    • 정치
    • 종교
  • 문화
    • 게임
    • 교육
    • 덕후
    • 만화
    • 스포츠
    • 애니
    • 연예
    • 영화
    • 인문
    • 음악
    • 책
    • 학문
  • 테크
    • IT
    • SNS
    • 개발
    • 공학
    • 과학
    • 디자인
    • 의학
    • 환경
  • 생활
    • 건강
    • 부모
    • 성인
    • 여행
    • 영어
    • 음식
    • 패션
  • 특집
    • 개드립
    • 인터뷰
  • 전체글

사회

‘법무사’란 말로 전쟁범죄 은폐하는 일본

2017년 6월 6일 by 김훤주

‘법무사’란 말로 전쟁범죄 은폐하는 일본

1. 일본 후쿠오카 호국신사 동갑내기 몇몇과 함께 4월 28일부터 30일까지 일본 후쿠오카 일대를 둘러보았다. 후쿠오카에는 호국신사(護國神社)가 있었다. 첫째 날 후쿠오카성과 무슨 호수를 둘러본 다음 저녁 무렵에 찾았다. 들머리에는 커다랗고 멋진 도리이(鳥居)가 서 있었다. 한눈에 보기에 호국신사는 아름다웠다. 아름드리나무가 곳곳에 늘어서서 숲을 이루었다. 곱게 잔디가 깔린 마당에서는 비둘기가 무리 지어 다녔다. 올려다보는 하늘은 맑았고 내리쬐는 햇살은 다사로웠다. 한켠에 봉납(우리나라 … [Read more...] about ‘법무사’란 말로 전쟁범죄 은폐하는 일본

죄책감은 워킹맘의 또 다른 이름이다

2017년 6월 6일 by 낙서협동조합 BIG HIP

죄책감은 워킹맘의 또 다른 이름이다

출산휴가가 끝나고 육아휴직에 돌입했다. 작은 비영리단체에 다니는데 시민운동이라는 것이 대체 인력을 투입하기에 어려운 부분이 많다. 휴직 기간 동안 내 업무를 대체할 사람이 없어서 급한 업무만 우는 아이를 유모차에 태우고 발로 밀어가며 했다. 우는 아이를 재우고 일하고 다시 달래고 일하는 일상이 반복됐다. 당연히 업무효율은 최악이었다. 애를 보는 것도 아니고 일을 하는 것도 아닌 어정쩡한 시간이 계속해서 이어지자 심신이 지쳤다. ‘차라리 출근하자!’고 외치며 2달간의 육아휴직을 종료하기로 … [Read more...] about 죄책감은 워킹맘의 또 다른 이름이다

“여대가 왜 있어야 해?”

2017년 6월 5일 by 한승혜

“여대가 왜 있어야 해?”

다른 분 담벼락에서 '여대의 필요성'에 관한 이야기가 나왔다. 개인적으로 남자들이 왜 여자들끼리만 몰려있는 공간에 그토록 반감을 갖는지 잘 모르겠다. 지하철 여성 전용칸도 그렇고 각종 '여성 전용'의 어떤 것에 강한 거부감을 갖는 모습을 많이 봤다. 여자들이 '비혼 비출산 선언'을 하는 데 대해서도 엄청난 조롱을 하거나 반감을 보이기도 하고. 그렇게 욕하고 무시하는 '메퇘지년들'이 결혼도 안 하고 애도 안 낳고 그냥 우리끼리 잘 먹고 잘살겠다는데, 그럼 늬들도 좋고 우리도 좋은 거 아닌가? … [Read more...] about “여대가 왜 있어야 해?”

대만의 성 소수자 활동가는 왜 동성혼 추진을 비판했을까

2017년 6월 5일 by 백스프

대만의 성 소수자 활동가는 왜 동성혼 추진을 비판했을까

동성혼은 아무것도 망치지 않는다 “이에 따라 (동성 커플도 이성 커플과 마찬가지로) 두 사람 간에 법률상 배우자 관계가 형성되고 배우자 간의 권리 의무도 부담한다.” 지난 5월 24일, 대만 헌법재판소는 동성 커플의 결혼을 금지하는 현행 법 제도가 위헌이라고 판결, 대만은 아시아 최초로 동성혼이 가능한 국가로 이름을 올렸다. 헌법재판소는 판결에서 “성적 지향은 바꾸기 어려운 개인의 특성”이라고 전제한 뒤 “결혼이 제공하는 친밀하고 배타적 성격의 영속적 결합”은 “동성애자와 이성애자 … [Read more...] about 대만의 성 소수자 활동가는 왜 동성혼 추진을 비판했을까

가난에서 인권변호사로… 이런 사람이 노무현입니다

2017년 6월 4일 by Seven Kiss

가난에서 인권변호사로… 이런 사람이 노무현입니다

제16대 대통령 노무현은 대한민국 대통령 중 가장 서민적인 대통령으로 꼽히는 정치인입니다. 그래서 '한국인이 가장 그리워하는 대통령' 여론조사에서 1위를 했던 인물이기도 합니다. 가난한 서민의 가정에서 태어나서 부유한 조세 전문 변호사가 되었다가, 인권변호사로 사회문제를 깨닫는 시간까지의 과정을 증언을 통해 알아봅니다.   가난한 시골 소년 노무현입니다 가난한 소년 '노무현'은 1946년 경남 김해의 한 시골에서 태어났습니다. 5남매의 형제 중에서 늦둥이로 태어나 어머니가 … [Read more...] about 가난에서 인권변호사로… 이런 사람이 노무현입니다

로자 파크스보다 먼저 인종차별에 맞선 소녀, 영웅이 되지 못한 이유는?

2017년 6월 4일 by 뉴스페퍼민트

로자 파크스보다 먼저 인종차별에 맞선 소녀, 영웅이 되지 못한 이유는?

※ 이 글은 npr에 기재된 「Before Rosa Parks, A Teenager Defied Segregation On An Alabama Bus」를 번역한 글입니다. 1955년, 앨라배마 주 몽고메리의 버스에서 백인 승객에게 자리를 양보하지 않은 로자 파크스는 인종차별에 맞선 아이콘으로 역사에 길이 이름을 남겼습니다. 그러나 그보다 9개월 앞서 똑같은 행동을 했지만, 유명해지지 않은 한 사람이 있습니다. 바로 당시 15세 여학생이었던 클로뎃 콜빈(Claudette … [Read more...] about 로자 파크스보다 먼저 인종차별에 맞선 소녀, 영웅이 되지 못한 이유는?

‘완전 고용’은 실업률이 0%라는 말이 아닙니다

2017년 6월 3일 by 뉴스페퍼민트

‘완전 고용’은 실업률이 0%라는 말이 아닙니다

※ 이 글은 npr에 기재된 「Why Some Still Can't Find Jobs As The Economy Nears 'Full Employment'」를 번역한 글입니다. 요즘 미국에서는 경기 침체에서 벗어나 고용 시장이 확실히 회복했고 실업률이 계속 낮아져 “완전 고용(full employment)” 상태에 근접했다는 기사가 심심찮게 나옵니다. 오는 금요일 노동부가 1월 실업률을 발표하면 이 단어는 봇물 터지듯 쓰일 겁니다. 그런데 이 '완전 고용'이라는 말이 정확히 … [Read more...] about ‘완전 고용’은 실업률이 0%라는 말이 아닙니다

정치인 노무현과 인간 노무현을 알다: ‘노무현입니다’

2017년 6월 2일 by 노지현

정치인 노무현과 인간 노무현을 알다: ‘노무현입니다’

지난 토요일 아침, 영화 ‘노무현입니다’를 보았다. 꼭 보겠다는 의무감은 없었지만 일주일간의 피로로 늦게 눈 뜬 토요일 아침, 해야 할 일을 하나씩 하다가 김해 CGV 상영 시간표를 검색해보았다. 문득 그 영화를 보러 가고 싶었다. 때마침 오전 10시 45분에 영화 스케줄이 있어 아침에 영화를 보고 오기로 했다. 다른 시간대는 늦은 오후라 밖에 나가기가 조금 꺼려졌고, 도중에 밖으로 나가야 할 수도 있었기 때문이다. 이 영화만큼은 그런 마찰을 최대한 피하면서 온전히 여유를 가지고 보고 … [Read more...] about 정치인 노무현과 인간 노무현을 알다: ‘노무현입니다’

유권자가 스스로 가난해지기를 선택했다는 미신에 대하여

2017년 6월 2일 by 뉴스페퍼민트

유권자가 스스로 가난해지기를 선택했다는 미신에 대하여

※ 이 글은 Financial Times에 Janan Ganesh가 기고한 ‘The myth that UK voters have chosen to be poorer on way to Brexit’를 번역한 글입니다. 1968년 로버트 케네디(Robert Kennedy)는 대선 캠페인 중 국내총생산(GDP, Gross Domestic Product)에는 폭탄 생산, 담배 광고, 환경 파괴에 사용된 돈, 불안한 치안에 따라 설치하게 된 잠금장치, 이 잠금장치를 부수고 범죄를 저지를 … [Read more...] about 유권자가 스스로 가난해지기를 선택했다는 미신에 대하여

김상조 이력 허위 논란, ‘초빙교수’의 개념은 무엇인가

2017년 6월 2일 by 이상헌

김상조 이력 허위 논란, ‘초빙교수’의 개념은 무엇인가

공적인 일에서 친분 있는 사람을 편드는 것이 궁색하기도 하고, 두려워하는 이들이 늘 하는 일이겠니 했는데 갈수록 가관이다. 아내와 아들 문제를 이래저래 엮어 보려 하더니 드디어 김상조 본인을 정면 겨냥했다. '이력 허위 표기'. 이건 선거법상으로도 문제가 되는 큰일이다. 그래서 살펴보았다. '허위'의 진상은 이렇다. 케임브리지대학에 ‘official visitor(기사는 이를 '방문연구원'이라 번역했다)’ 자격으로 1년간 머문 적이 있는데, 이를 '초빙교수'라고 '허위기재'로 … [Read more...] about 김상조 이력 허위 논란, ‘초빙교수’의 개념은 무엇인가

  • « Previous Page
  • Page 1
  • …
  • Page 147
  • Page 148
  • Page 149
  • Page 150
  • Page 151
  • …
  • Page 301
  • Next Page »

Primary Sidebar

SPONSORED

RECOMMENDED

Footer

ㅍㅍㅅㅅ

등록번호: 서울, 아03293
등록일자: 2014년 8월 18일
제호: ㅍㅍㅅㅅ
발행인: 이승환
편집인: 이승환
주소: 서울특별시 서초구 강남대로 369 12층
발행일자: 2014년 8월 18일
전화번호: 010-2494-1884
청소년보호책임자: 이승환
Privacy Policy

Copyright © 2025 · Magazine Pro on Genesis Framework · WordPress · Log 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