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 글은 특정 후보를 지지하거나 비난하는 등의 정치색을 띄지 않았음을 미리 알립니다. 마침내 19대 대선 후보 포스터가 공개되었습니다. 오늘부터 숨 가쁘게 대선 레이스가 시작될 텐데요. 후보들이 전국 방방곡곡을 돌아다니면서 부지런히 지지자들을 만나겠지만 그들도 사람인지라 몸을 만 개로 쪼갤 수는 없겠죠. 그들의 얼굴을 알리기 위한 가장 보편적인 방식, 바로 선거 포스터가 될 것입니다. 선거 포스터는 많은 면에서 프리젠테이션의 슬라이드 디자인과 일맥상통하는 부분이 … [Read more...] about 슬라이드 디자인 관점에서 본 19대 대선 포스터
테크
어떠한 기능을 추가하지 않을 것인가
온라인 서비스에서 기능을 추가하는 것만큼 중요한 것은 어떠한 기능을 추가하지 않을 것인가를 결정하는 것이다. 서비스에 필요 없는 기능을 넣지 않는 것은 너무나 당연하지만, 항상 딜레마에 빠지는 이유는 실제로 대다수가 존재해서 나쁠 거 없어 보이기 때문이다. 개인적으로 생각하는 '꼭 필요하지 않은 기능'을 추가하지 않아야 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1. 시각적 혼란 아무리 조그마한 기능이라도 그 기능이 사용되어지기 위하여 인터페이스의 형태로 화면상에 어떻게든 표시되어야 … [Read more...] about 어떠한 기능을 추가하지 않을 것인가
미국 대학원 유학 준비하시는 분들에게
지난 수년간 대학원 입학 심사를 해왔습니다. 제 심사 경험을 바탕으로 과학 분야 박사 과정, 특히 생물학 분야로 미국 대학원 유학 준비하시는 분들에게 도움될 만한 정보를 나누려고 합니다. 준비해야 할 시험은? 요새는 GRE(Graduate Record Examination) 별로 안 봅니다. 학교마다 전공마다 차이는 있겠지만 특히 과학 분야 대학원생들의 경우 GRE 점수가 학생들의 성공 여부에 전혀 영향을 주지 못한다는 결과들이 많이 쌓여서 GRE 무용론이 대세입니다. … [Read more...] about 미국 대학원 유학 준비하시는 분들에게
신입 프론트엔드 개발자를 위한 면접 조언
재작년 하반기, 예전에 가르쳤던 학생 한 명이 네이버에 프론트엔드 개발자로 면접을 보게 됐다며 자신의 포트폴리오를 보고 의견을 줄 수 있겠느냐고 부탁해왔다. 꽤 좋은 아이디어라고 생각했기 때문에 흔쾌히 해주겠다고 하고 나름대로 몇 가지 조언을 해줬고 결국 합격했다는 기쁜 소식을 들었다. 물론 그 학생 본인이 열심히 노력한 덕이지만 내 조언이 유용했다고 해주어서 뿌듯했던 기억이 있다. 그 후엔 잊고 있었는데 자료를 정리하다 그때 그 학생에게 보내려고 작성해 둔 파일이 나타났다. 비록 대단한 … [Read more...] about 신입 프론트엔드 개발자를 위한 면접 조언
주갤러와 한국 정부 R&D가 돈을 못 버는 이유
한국 정부 R&D가 별로 구체적인 성과를 내지 못한다고요. 그런 집단이 하나 더 있습니다. 요즘 흔히 나오는 기사 중에서 한국의 국가 R&D 투자 규모가 세계에서 몇 위, GDP 대비 세계 1위에 가까운데 왜 이리 경제적인 성과가 안 나오는 거냐 과학자 공학자들이 그냥 놀기 때문이냐 등등의 이야기가 많이 나옵니다. 사실 이런 수치가 얼마나 신빙성이 있는 것인가에도 좀 의문이 없는 것은 아니고, 이러한 R&D 예산 분배의 비효율성에도 문제가 … [Read more...] about 주갤러와 한국 정부 R&D가 돈을 못 버는 이유
교육성과를 한번에 높일 수 있는 가장 쉬운 방법
일전에 올린 Babson College 교육 과정에 참석한 후기 포스팅을 보시고 정말 많은 기관에서 연락을 주셔서 많이 만나 뵈었습니다. 대부분 말씀하시는 내용은 비슷합니다. 아마도 현재 우리나라에 있는 잘못된 창업교육의 답답함을 호소하시는 것이었습니다. 그래서 '우리도 이런 새로운 교육 프로그램을 만들고 싶다'는 말씀을 많이 해주시고 저도 그에 맞추어 제 의견을 드리고 있습니다. 그때마다 교육설계가 중요하다는 말씀을 반복적으로 드리고 있는데, 그 내용을 정리해서 하나씩 올려보도록 … [Read more...] about 교육성과를 한번에 높일 수 있는 가장 쉬운 방법
스타트업 MVP 사례
스타트업 업계에서 가장 많이 나오는 단어 중 하나가 바로 MVP(minimal viable product, 최소 기능 제품)다. 『린 스타트업(The Lean Startup)』의 저자 에릭 리스(Eric Ries)의 말에 의하면 MVP는 최소한의 노력과 개발 공수로 완성할 수 있는 제품이다. 즉 최소한의 리소스로 고객의 피드백을 얻고, 쉽게 이를 제품 개발에 반영할 수 있도록 설계된 제품 또는 서비스라고 할 수 있다. 그러고 보면 처음에는 이런 단어조차 모르고 시작을 했었다. 아끼고 … [Read more...] about 스타트업 MVP 사례
기술 발전으로 인한 대량 실업 사태, 보편적 기본소득이 해결책일까요?
기술의 발전으로 인한 실업의 문제는 이 시대 가장 뜨거운 논쟁거리 중 하나입니다. 정치의 영역에서도 “디지털”이라는 단어가 여기저기 붙은 지 오래지만, 실질적인 실업의 위협에 어떻게 대응할지에 대한 구체적인 논의는 부족한 실정입니다. 일자리가 대량으로 사라지는 사태가 실제로 올지는 아직 알 수 없지만, 정부와 사회 각계에서는 이런 가능성에 대비해야 합니다. 현재 제한적이나마 논의되고 있는 대책 가운데 핵심이 되는 개념은 보편적 기본소득입니다. 새로운 개념은 … [Read more...] about 기술 발전으로 인한 대량 실업 사태, 보편적 기본소득이 해결책일까요?
제 4차 산업혁명, 융합, 스타트업 그리고 대한민국
아무래도 대선 시즌이라 그런지 미래를 이야기하는 키워드들이 주목받고 있는 듯하다. 특히 "제4차산업 혁명"이라는 단어가 각 캠프에서 논의될 정도면 이 이슈가 뜨겁기는 뜨겁나 보다. IT업계에 있으면서 그리고 공적인 역할을 조금 해보면서, 한국의 미래먹거리라는 정보통신산업, 소프트웨어에 대해 생각할 기회가 비교적 많았다. 소프트웨어 개발부터 시작해서 그림을 그리는 것을 취미로 했었고, 기획/전략 업무를 하고 정책업무까지 해봤으니 SW 제품을 만드는데 대표 빼고는 다해본 것 … [Read more...] about 제 4차 산업혁명, 융합, 스타트업 그리고 대한민국
레드오션 O2O 시장에서 살아남는 스타트업 전략
2016년 한 해, IT 시장에서 단연 최고의 화두였던 키워드는 O2O(Online Toward Offline) 서비스입니다. O2O는 온라인에서 상품구매가 이루어지고 오프라인으로 서비스를 받는 형태를 의미합니다. 배달부터 숙소, 택시에 이르기까지 생활 속 다양한 분야에서 O2O 서비스가 런칭되었습니다. 대부분의 비즈니스 모델은 오프라인 인프라를 온라인으로 중계해주고 중간에서 수수료를 취하는 방식입니다. 그중에서도 오프라인 상품의 가격과 퀄리티를 쉽게 비교할 수 있도록 정보를 제공하고 … [Read more...] about 레드오션 O2O 시장에서 살아남는 스타트업 전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