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란과 호갱님 사이, 스마트폰 유통의 현실 현실을 짚어보자. 단말기 가격이 천차만별이다. '스팟'이니 '버스폰'이니 '대란'이니 하는 이름으로 가끔씩 통신사가 보조금을 왕창 풀어 폰을 공짜로 뿌리기 때문이다. 온라인 일부 커뮤니티를 통해 정보가 유통되기 때문에, 이런 정보에 어두운 사람은 비싼 돈을 치를 수밖에 없다. 똑같은 아이폰 5s를 사는데 누구는 공짜로 사고 누구는 68만원에 산다. 단통법은 이런 현실을 개혁하자는 취지에서 만들어졌다. 미래창조과학부는 '10월부터 보조금 대신 … [Read more...] about 모두의 호갱님化? 단통법 디스토피아
테크
미아방지 팔찌: 혁신은 스펙이 아니라 문제 해결이다
1. 혁신은 스펙이 아니라, 문제를 해결해 우리 삶을 바꾸는 것이다. 제가 아이폰이 혁신적이었다고 생각하는 이유는 길에서 더 이상 내가 어디에있는지를 알 수 있게 되었고, 손 안에서 친구들과 url을 전송하고, 길에서 모르는 것이 있을 때 바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기계였기 때문입니다. 이미 아이폰4와 갤럭시2 이후 스펙경쟁과 완성도 경쟁을 하고 있기에, 저는 혁신이 이미 진작에 끝났다고 보고 있습니다. 제가 생각하는 혁신에 해당되는 대한민국 스타트업 이야기를 하려고 합니다. 아이폰과 … [Read more...] about 미아방지 팔찌: 혁신은 스펙이 아니라 문제 해결이다
당신이 사이드미러를 교체해야 하는 이유
자동차를 구입할 때는 옵션을 꼼꼼하게 따져야 한다. 타이어 공기압 장치는 거의 기본으로 들어가는 추세이고, 헤드업 디스플레이, 통풍 시트 등도 점점 자리잡아 가고 있다. 지금은 너무나 당연히 여겨지는 안전벨트도 한때는 옵션이었다. 하지만 여러 사고에서 알 수 있듯 안전벨트의 필요성이 높아지기 시작했다. 특히 1959년 볼보에서 세계 최초로 3점식 안전벨트를 내놓으며 그 안정성이 더해졌고, 이제는 완전히 기본 옵션으로 정착됐다. 사이드미러 역시 마찬가지다. 사이드미러는 … [Read more...] about 당신이 사이드미러를 교체해야 하는 이유
왜 과학은 논문 공장이 되어버렸는가?
※ 이 글은 우고 바르디(Ugo Bardi)의 과학의 쇠퇴: 왜 너무나 많은 논문이 출판되고 있는가? (The Decline of science: why we are publishing too many papers)를 번역한 글입니다. 우리는 과학자들이 지구 온난화에 의해 초래된 임박한 재난에 맞서서 무언가를 행할 긴급한 필요성을 의사 결정권자들에게 납득시키는 데 대단히 실패하고 있는 것을 목격하고 있다. 그런데 그것은 과학적 연구의 쇠퇴에 대한 한 증상일 뿐인데, 과학적 연구는 … [Read more...] about 왜 과학은 논문 공장이 되어버렸는가?
시대를 이끌어간 남성 속옷 모델들
매년 크리스마스에 방영되는 ‘빅토리아 시크릿’의 패션쇼에서 속옷은 보이지 않는다. 우리는 모두 모델 미란다 커의 가슴과 모델 캔디스 스와네포넬의 엉덩이 크기를 멍하니 비교하고 있을 뿐이다. 속옷 모델이란 그런 것이다. 속옷에 대한 환상을 파는 동시에, 완벽한 몸매에 대한 환상도 팔고 있는 존재들이다. 그러니 속옷 모델들이 완벽한 몸매와 함께 섹스어필까지 판매하고 있는 것은 당연한 일이다. 남성 속옷의 모델들이라고 다를 건 없다. 아니, 그들이야말로 동시대에서 가장 섹시하다고 생각하는 몸매를 … [Read more...] about 시대를 이끌어간 남성 속옷 모델들
디자인과 IT: 5가지 키워드에 대한 이야기
라디오가 5천만명에게 사용되기까지 약 40년이 걸렸고, TV는 약 10년, 아이폰은 약 3년이 걸렸다. 이처럼 변화의 주기는 점점 짧아지고, 그 중에서도 디지털 프로덕트, 인터랙션 디자인 분야는 스마트폰의 대중화를 기점으로 그 어느때보다 빠르게 변화하기 시작했다. 하나의 제품일지라도 거의 모든 사람의 일상이 되어버리고 나면 오히려 그 제품이 사람들이 살아가는 방식과 더 나아가 사회 시스템을 변화시킨다. 전구와 자동차가 오늘날 우리가 살아가고 있는 모습을 결정했 듯, 스크린과 인터넷은 다시한번 … [Read more...] about 디자인과 IT: 5가지 키워드에 대한 이야기
매력적인 독일 스타트업에 들어가기 위해 필요한 것들
유럽 젊은이들이 독일에 관심을 가지는 이유 독일은 유럽 젋은이들이 살고 싶어하는 복지 국가의 표본으로 관심 받는 나라 중 하나입니다. 여기에 베를린은 예술과 문화를 선도한다고도 하지요. 거기에 정부 차원에서도 이민법을 완화하며 고급 인력 유치에 열을 올리고 있어 기회를 원하는 젊은이들에게 더욱 각광받고 있습니다. 이 글은 베를린 중심가에 위치한 글로벌 스타트업 몇 곳을 취재해서 한국에 소개해보려는, 다소 가벼운 마음으로 시작했습니다. 길거리마다 남겨진 그래피티를 지나치고 거리 공연과 축제를 … [Read more...] about 매력적인 독일 스타트업에 들어가기 위해 필요한 것들
여성 캐릭터의 성적 대상화는 정당한가?
조금 충격적인 그림이었나. 얼마 전에 “If male video game characters were dressed like female characters”이라는 트윗이 올라와서 리트윗이 7천 건이 넘게 되고 있길래 “게임에서 남자 캐릭터가 여자 캐릭터가 입듯 입는다면.”이라고 해석을 해서 올렸더니 이것도 지금 미친듯이 리트윗이 되고 있다. 사실 사회 전반에 성적 대상화에 대한 이야기가 활발한 편인데, 게임은 이런 움직임이 뒤늦은 편이다. 그리고 대체로 반응들을 보면 여성들은 … [Read more...] about 여성 캐릭터의 성적 대상화는 정당한가?
애플 워치와 잘못된 키노트
애플의 키노트는 늘 짜임새 있게 준비되고, 소비자들을 매혹시키는 제품 소개로 유명하다. 하지만 지난 9월 9일의 이벤트는 몇가지 면에서 그렇지 못했다. 단순히 이벤트 초반 짜증을 불러일으킨 스트리밍 문제 때문만은 아니었다. 이번 애플의 키노트는 새로운 카테고리의 제품을 소개할 때 늘 있어왔던 “왜”라는 스토리가 빠졌다. 잘못된 키노트 2001년 10월 23일, 스티브 잡스가 오리지널 아이팟을 선보일 때 그는 현재의 음악 시장에 대해 설명하고, 왜 애플이 음악 시장에서 성공할 … [Read more...] about 애플 워치와 잘못된 키노트
시계 전문가가 본 애플 워치
※ HODINKEE에 올라온 Benjamin Clymer의 글이다. Benjamin은 실제 애플 워치 발표장에서 직접 애플 워치를 착용해보고 이 글을 썼다. 아직 실제 제품이 출시되지 않은 상황에서 애플 워치의 세세한 부분에 대해서 알 수 있는 글이니만큼, 관심이 있는 사람이라면 읽어보길 바란다. 나는 우리가 이걸 시계라고 불러야 할지도 확신이 서지 않는다. 좋다. 어쨌든 손목에 차는 것이고, 시간을 알려준다. 하지만 애플의 갓 발표된 시계와 우리가 글을 쓰고, 집착하는, … [Read more...] about 시계 전문가가 본 애플 워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