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가 발달하면서 O2O(online to offline) 플랫폼이 여럿 생겨나고 있다. 한국에서도 의료영역에서 환자와 의사를 연결하는 플랫폼(이하 헬스케어 플랫폼)들이 여럿 시도되었다. 여기서 플랫폼이라고 하는 것은 의료소비자와 공급자를 연결하는 서비스를 의미한다. 이를테면 <배달의민족>이나 <카카오택시>의 의료 버전이랄까. (꼭 수수료 모델이 아니라도.) 미국에서는 Zocdoc, healthTap, RealSelf 같은 서비스들이 자리를 잡고 성장 중인데 반해, … [Read more...] about “배달의민족”, “카카오택시”를 이을 의료 플랫폼을 기대하며
테크
자전거를 타는 사람들을 위한 8가지 조언
이제 막 자전거 타기를 시작한 당신. 선선한 바람을 맞으며 자전거 도로를 달리다 보면 어느새 자전거 타기의 즐거움에 푹 빠질 것이다. 그러나 과연 그것이 끝일까? 자전거를 더 안전하고 오래 타려면, 세밀하게 알아둬야 할 것들이 있다. 뼈가 되고 살이 되는 조언들만 추려보았다. 1. 소년 소녀여 헬멧을 써라 수백 번 강조해도 결코 과하지 않은 사실. 주행 중에 여러분을 보호해주는 유일한 장비가 바로 헬멧이다. 시속 20~30km로 낙마하는 순간, 보도블록과 아스팔트가 여러분의 … [Read more...] about 자전거를 타는 사람들을 위한 8가지 조언
[전문] 고2 때 하스스톤으로 진화론 연구했던 썰
편집자 주. 지난 7월 26일, 인터넷 커뮤니티 디시인사이드 하스스톤 갤러리(이하 돌갤)에 "고2때 하스스톤으로 진화론 연구했던 썰.evolution"이라는 게시물이 올라왔다. 이 게시물은 한 고등학생의 자유연구 과제를 다룬 것으로, "카드게임에서 인공지능이 스스로 덱을 짜는 단계까지 발전할 수 있을까?"라는 문제의식에서 시작되었다고 한다. 글쓴이 '집부릉'이 설명한 연구의 핵심은 덱을 생명체로, 카드를 유전자로 대입해 유전 알고리즘을 응용하는 것이다. 1세대 덱 10개를 무작위로 만들고, … [Read more...] about [전문] 고2 때 하스스톤으로 진화론 연구했던 썰
좋은 지도교수를 선택하는 법
※ 편집자 주: 이 글은 글쓴이 Mad Scientist 님의 분야인 생물학을 중심으로 진행됩니다. 다른 분야와는 차이가 있을 수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대학원 혹은 포닥 과정에서 지도교수를 선택하는 것은 앞으로의 일생을 좌우할 만큼 중요한 일임. 그렇다면 ‘좋은 지도교수’란 어떤 지도교수인가? 인건비 많이 주시는 분? 논문 잘 내시는 분? 아니면 학생에게 관심이 많으신 분? 아니면 자유방임으로 냅두시는 분? 물론 이런 질문에 대해서는 ‘그때그때 다 달라요‘ 진리의 … [Read more...] about 좋은 지도교수를 선택하는 법
구글 검색은 모바일 환경에 어떻게 대처하는가
구글 검색이 서비스된 지 벌써 17년이 지났다. 그 긴 시간 동안 환경도 많이 바뀌었다. PC에서 키보드로 단어를 입력하던 시절에서, 이젠 시계에 대고 말을 해서 검색을 하고, 심지어는 검색을 하지 않아도 필요한 정보를 예측해서 제공하기까지 한다. 그 시간 동안 구글도 많이 변했다. Medium의 Steven Levy가 굉장히 긴 분량의 특집 기사를 통해 구글 검색을 다루었다. 이 글은 그 시리즈 중 1편을 요약·번역한 것이다. 내용을 항목별로 요약하긴 힘들지만, 간단히 주요 내용들만 … [Read more...] about 구글 검색은 모바일 환경에 어떻게 대처하는가
굿바이, 안드로이드
안드로이드의 보안이 취약하다는 것은 이제 상식이 된 것 같다. 기존에도 악성 앱이나 악성 링크에 취약하다는 점들이 알려져 있기는 했지만, 최근 국정원의 해킹 툴 사용으로 더 크게 이슈가 되는 느낌이다. 어떤 소프트웨어든 —iOS나 안드로이드나— 사람이 만드는 것이고, 그렇다 보니 당연히 완벽할 수는 없다. 그러니 완벽하게 만들려고 노력하는 게 중요하기는 하지만, 그보다 더 중요한 것은 빠르게 문제를 수정하는 것이다. 하지만 안드로이드에선 그게 안 되고 있다. 이 문제에 대해 Vice에 올라온 … [Read more...] about 굿바이, 안드로이드
국정원 스마트폰 해킹 툴, 제대로 좀 알아보자
이번 국정원 해킹 의혹으로 인해 안드로이드 폰 전체에 대한 위험이 널리 알려지고 있습니다. 사람들이 하는 이야기를 듣다 보면 당장 오늘이라도 안드로이드 휴대폰의 전원을 끄고 애플 샵으로 달려가야 할 것 같습니다. 하지만 해킹에 대한 위험은 실제보다는 과장되어 있습니다. 어떤 위험 요소가 있는지 확인하고 위험을 관리할 방법을 찾아봅시다. 해킹 의혹 안드로이드 도구는 어떤 도구인가? 해킹에 사용된 것으로 보이는 도구는 이탈리아 해킹 팀이 제작한 도구로, 관련 안드로이드용 핵심 … [Read more...] about 국정원 스마트폰 해킹 툴, 제대로 좀 알아보자
게임의 성패는 처음 1시간 안에 결정된다
이 글은 게임의 성패를 가르는 주요 지표 중 하나인 D+1 잔존율을 높이는 방법에 대해서 정리한 글이다. 편집자 주: 잔존율이란 일정 시간이 지난 후 남아있는 유저들의 비율을 의미한다. 즉, 'D+1 잔존율'은 특정일의 앱 신규 설치 유저 수 대비 해당 유저들이 하루 후에도 여전히 해당 앱을 사용하고 있는 비율이 된다. 일반적으로 게임에서 유저들의 레벨 분포를 보면 1~5레벨의 유저가 60~70%를 차지하고 있다. 보통 이 구간의 플레이타임은 1시간 내외이며, 대부분은 이 과정을 넘지 … [Read more...] about 게임의 성패는 처음 1시간 안에 결정된다
과학 보도의 출처 표기
일반적인 경우 과학적인 발견이 언론에서 보도되는 시점은 해당 연구가 논문으로 나와 공개된 직후가 되겠다. 물론 극히 예외적으로 중대한 발표인 경우(이런 경우라든지, 이런 거는 말고)는 논문 발표 전에 언론에 공개하는 경우도 있으나, 이는 그야말로 극히 예외적인 경우이고, 결국은 논문 형태로 공개된 결과가 보도되는 것이 보통이다. 결국 현대의 학술논문은 어떤 형식으로도 동료리뷰(Peer Review)를 거친 것들, 즉 해당 연구의 의의나 엄밀성을 판단해줄 수 있는 유일한 사람들인 유사분야 … [Read more...] about 과학 보도의 출처 표기
우리가 팔아야 하는 건 채팅 툴이 아닌 조직의 변혁이다
※ 이 글은 Slack의 개발사인 Tiny Speck가 2013년 7월 31일 내부에 공유한 내용을 번역한 것입니다. Slack을 개발한 지는 7개월이 지났고, 프리뷰 릴리즈 2주 전이었습니다. 내부 자료로의 링크와 구체적인 출시 전략을 제외하고는 그대로 옮겼습니다. 편집자 주. Slack은 대표적인 협업 툴로, 기업용 SNS라고도 불린다. 이해를 돕기 위해 굳이 비유하자면 (업무용으로 사용하던) 네이트온과 네이버 밴드 등의 훨씬 더 발전·특화된 버전 정도. 2014년 공식 출시 이후 초고속으로 … [Read more...] about 우리가 팔아야 하는 건 채팅 툴이 아닌 조직의 변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