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의 확신은 시기적·우연적 요소를 간과한다 모든 것이 양면성을 지니고 있듯 조언 역시 독이 될 수 있다. 특히 개인적 경험의 지나친 확신으로부터 나오는 진심 어린 조언은 시기적·상황적 차이를 무시한 채 낡은 사고방식을 세습시키는 결과를 낳기도 한다. 불확실한 미래에 대한 피로감 때문인지 사람들은 너무 쉽고 성급하게 과거를 단정 짓는 경향이 있다. 현재의 B를 초래한 것은 과거의 A라는 식의 논리가 지배적인데, 문제는 과거의 A를 추론하는 범위가 본인의 경험과 지식수준을 벗어나지 못한다는 … [Read more...] about 조언의 배신
사회
회사 내의 자위행위자들
사람은 누구나 자위행위를 한다. 이는 단지 육체적 쾌락을 얻기 위한 스스로의 행동만이 아니다. 자신의 행동을 정당화 하고 자신에게 다가오는 두려움과 대면하지 않기 위해서 하는 모든 행동이다. 때로는 그것이 스스로의 양심을 가리고 누군가에게 변명할 거리를 만들어 내는 행동이 되기도 한다. 물론 회사 내에서도 이렇게 자위행위를 하는 사람들은 많다. 특히 일을 받아서 하는 일반 직원이 아니라 이들은 일의 방향성을 정하고 일을 지시하는 중간관리자 이상에게서 많이 보인다. 이런 회사내의 … [Read more...] about 회사 내의 자위행위자들
쓸데없이 복잡한 임금조정률
참으로 진풍경이다. 정부는 임금을 올리자 하고 재계는 딴지다. 경총은 올해 1.6% 임금 인상이 적정하다 했다. 목소리 높인 정부로서는 빈정상할 일이지만, 기업의 “독립적 연합체”인 경총이 자신의 “독립적” 목소리를 내는 것까지 비난할 일은 아니다. 다만, 정부가 임금 자제를 요청할 때에는 획기적인 임금 인상으로 화답하는 “균형감각”을 바랄 뿐. 하지만, 어느쪽이든 정확하게 하는 게 좋겠다. 경총은 1.6%의 “과학적” 근거까지 내세웠다. 이른바 “적정임금조정율 기본산식”이라는 것인데, … [Read more...] about 쓸데없이 복잡한 임금조정률
발로 뛰며 터득한 중국 지역별 특성
과거 중국 CKGSB MBA 졸업 후 상하이 푸동에서 M&A 자문 업무를 하면서, 또 한국 증권사에서 중국기업 IPO 업무를 하면서 5년여 동안 100여 개 중국기업을 방문하고 30여 도시를 방문했다. 마신 바이주만 해도 한 트럭은 될 것이고, 별의별 희한한 음식도 다양하게 먹어보았다. 저녁 술자리에서 실신해 다음 날 탈진하기도 하고, 도마뱀이 들어간 토속 술을 먹었다가 링거 맞고 입원한 적도 있다. 국내선 비행기 연착에, 기내에서 3시간 감금되는 건 기본에, 테러가 난무한 우루무치 … [Read more...] about 발로 뛰며 터득한 중국 지역별 특성
페이스북은 어떻게 뉴스 브랜드를 죽여버릴까
난 네이버에 뉴스가 뜨는걸 혐오한다. 네이버 뉴스는 기사 읽는 재미를 떨어뜨린다. 어느 언론사에서, 어떤 기자가, 무슨 기사를 썼는지 확인하는걸 즐기는 나에게 그걸 구분짓기 어렵게 만들어 버리는 네이버 뉴스는 똥덩어리 같은 존재다. 네이버 뉴스가 전반적인 기사들의 품질을 떨어뜨리는데 일조했다는 점도 혐오하는 이유 중 하나다. 안타깝게도 비슷한 일이 미국에서도 일어나려 하고 있다. 페이스북이 뉴욕 타임즈를 비롯한 언론사들의 뉴스를 호스팅하려 하고 있다고 한다. (당연하게도) 이를 우려하는 … [Read more...] about 페이스북은 어떻게 뉴스 브랜드를 죽여버릴까
농업이 미래 성장산업이 될 수 있을까
메가트렌드를 논하는 사람들은 농업이 미래 성장 산업이라고 주장한다. 2050년이면 지구 인구는 90억을 돌파하고 2100년이면 110억에 육박한다. 인구전망은 분명 농업이 성장산업임을 증명하고 있다. 이 거대한 인구를 먹여 살리기 위해서는 새로운 농업 혁명이 요구된다. 지금까지의 방법으로 엄청나게 늘어난 인구를 부양할 수는 없기 때문이다. 새로운 대안, 획기적인 발상의 전환이 필요할 때이다. 지금 가장 앞서 있는 기업은 단연 몬산토이다. 몬산토의 라운드업레디는 획기적인 발명품이었다. 제초를 … [Read more...] about 농업이 미래 성장산업이 될 수 있을까
네이버 공화국: 홈페이지를 만들 필요가 없는 나라, SEO를 잊어버린 나라
홈페이지를 만들 필요가 없는 나라, 대한민국 홈페이지를 제작하는 일에 시간과 돈을 들이는 이유는 컨텐츠를 제공함으로서 잠재 고객을 찾아내고 이들과 특별한 관계를 구축할 수 있기 때문이다. 기본적으로 웹사이트의 컨텐츠는 이를 소비할 방문자와 독자를 전제로 제작되기 때문에 웹 사이트를 운영하는 입장에서 트래픽의 확보는 웹사이트 운영의 동기이자 보상이고 목표라 할 만큼 중요하다. 어떤 웹사이트가 트래픽을 확보하는 방법에는 배너와 같은 디스플레이 광고나 검색 키워드 광고 … [Read more...] about 네이버 공화국: 홈페이지를 만들 필요가 없는 나라, SEO를 잊어버린 나라
최저임금은 왜 올라가지 않는가
왜 우리나라의 알바 임금은 낮은가? 최저임금은 왜 올라가지 않는가? 우선 이 글은 정확한 데이터 없이 검증되지 않은 상상과 추정, 그리고 편향된 시각으로 쓰여짐을 밝혀둔다. 오래전부터 많이 대두된 화두 중 하나가 일본의 알바 임금은 높은데 우리는 상대적으로 너무 낮다였다. 일본은 전업으로 아르바이트만 하는 이른바 '프리타족'이 생겨날만큼 알바만으로도 생활이 가능할 정도로 고임금을 받는데 우리나라는 왜 낮을까? 10여년 전만해도 일본이 경제적으로 더 우위에 있기 때문에 그러하다는 막연한 … [Read more...] about 최저임금은 왜 올라가지 않는가
두사부일체의 모티브가 된 학교 이야기
얼마 전 한참 나이 어린 작가가 황망한 일을 당한 뒤 "우째 이런 일이!"를 연발하는 걸 보았다. 경상도 출신도 아니면서 그 말을 쓰는 것이 우스워서 그 표현을 어떻게 아느냐고 물었더니 다들 관용어처럼 사용하지 않느냐는 대답이 돌아왔다. 이 말이 대한민국 사람들 누구나 아는 관용어로 자리잡은 계기를 아마도 그녀는 기억하지 못할 것이다. 아마 그녀가 초등학생 아니면 유치원생 때였을 1993년 초의 일이었으니까. 세상에, 우째 이런 일이! 1993년 초반, '문민정부'의 찬연한 … [Read more...] about 두사부일체의 모티브가 된 학교 이야기
당신도 회사 내 잉여가 될 수 있다
전문가가 되지 못하면 어떻게 되는가? 후배가 링크해 둔 블로그 왜 45세 정년이 될 수 밖에 없는가 (기술기업의 관점에서) 는 한국 기술기업이 원천기술 개발을 외면하고 응용제품 생산에만 전전하는 현실을 짚으면서, 그로 인해 기술인력의 한계생산성이 중년이 되면 가치가 없어져 조직에서 버려진다는 얘기를 하고 있다. 비단 기술기업뿐 아니라 일반 사무직에서도 마찬가지로 깊이 없는 단순 기능으로는 45세 이상 생존하기가 어렵다는 얘기를 들려주고 싶다. 위 그림에서 붉은 삼각형은 전형적인 … [Read more...] about 당신도 회사 내 잉여가 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