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자 주: Inside Facebook에 좋은 인터뷰 글(How is the Facebook ad landscape evolving?)이 있어서 번역, 소개합니다. 우리나라의 경우 카카오스토리가 신흥 SNS로 자리를 잡고 있는 등, 국내 사정과는 다른 부분이 존재합니다. 또한 제 초보적인 번역 수준으로 인해 의역/오역이 있을 수 있습니다. 영어가 능숙하신 분들은 원문을 보시는 편이 문맥을 이해하는 데 더 나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페이스북 광고 생태는 지속적으로 변화하고 진화하고 있습니다. … [Read more...] about 페이스북 광고는 어떻게 진화하고 있는가?
테크
몰스킨의 디지털 생존전략
출근과 퇴근, 늘 반복되는 36살 직장인의 삶. 그 지루한 하루하루 속에서 소소하니 마음을 설레게 하는 것이 하나 있으니, 바로 아들의 그림일기 입니다. 아니, 사실 엄밀히 말하자면 그림일기가 설레게 한다기보다, 그림일기 한귀퉁이에 적힌 유치원 선생님의 예쁜 손글씨가 저를 설레게 한답니다. 상냥한 말투로 적혀있는, 그리고 말투보다 더 옹그라지는 예쁜 손글씨. 청첩장 봉투 겉면에 적힌 수신자 이름 외에는 좀처럼 손글씨를 보기 힘든 요즘 세상에 유치원 선생님의 예쁜 손글씨가 늙수그레한 아저씨의 맘을 … [Read more...] about 몰스킨의 디지털 생존전략
존 스키트의 진실
예전에 척 노리스의 진실 패러디인 제프 딘의 진실을 번역한 적이 있는데, 존 스키트의 진실 시리즈도 재미있어보여서 번역해봅니다. 구글의 엔지니어이자 MS MVP이며, 《C# in Depth》의 저자인 존 스키트는 스택 오버플로우에서 명성(reputation) 1위 사용자로 월 평균 390개의 질문에 답변을 단다고 합니다. 어느 날 사용자 하나가 척 노리스의 진실 패러디로 존 스키트의 진실 시리즈를 만들어 보자는 질문을 스택 오버플로우에 올렸습니다. 존 스키트 본인의 답변: 척 … [Read more...] about 존 스키트의 진실
‘8퍼센트’ 이효진 대표 인터뷰
0. 첫 만남 “3억 2천.” 이효진 대표가 외쳤다. 이 3억 2천은 어떤 의미일까? 그것은 '8퍼센트'를 통해 개인들로부터 돈을 빌리고 있는 '쏘카'의 현장이었다. 쏘카… 현재 대한민국에서 가장 핫한 스타트업, 아니… 이제는 스타트업이라 부를 수조차 없는 대기업이다. 그 대기업이 왜 8퍼센트를 사용하고 있는 것일까? 그것은 어떤 서비스인가. 이효진. 그녀는 지금 대한민국에서 가장 주목 받는 여성 리더로 알려져 있다. 아마 올해 말에는 유명 경제지의 주목해야 할 여성 리더 … [Read more...] about ‘8퍼센트’ 이효진 대표 인터뷰
트위터가 바로잡아야 하는 5가지 문제
※역자 주: 트위터가 위기라는 얘기는 기술 뉴스에 크게 관심이 없는 사람도 한 번쯤은 들어봤음직 한 얘기다. 최근에 트위터의 위기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에 대한 글들이 제법 많이 나오는 편인데, 가장 최근에 사람들에게 널리 읽힌 글 두 개가 있다. 1)하나는 Eugene Wei가 쓴 140자 제한과 과거의 제약 사항들을 없애야 한다는 내용의 글이고, 2)다른 하나는 Startup L. Jackson이 트위터엔 큰 문제가 없다는 요지로 쓴 글이다. 이 논란에 Dustin Curtis가 말을 보탰다. … [Read more...] about 트위터가 바로잡아야 하는 5가지 문제
기업과 유명인을 위기로 몰아놓은 대표적 오보 TOP 7
많은 기업들이 제품의 하자나 오너의 잘못된 행동으로 구설수에 오른다. 하지만 개중에는 실제 사실과 다른 사실로 피해를 보는 기업이나 유명인도 적지 않다. 이런 잘못된 위험한 사례를 모아 봤다. 1. 억울한 쓰레기 만두 소동 대통령을 통해 4대 악(…)으로까지 지정된 ‘불량식품’만 해도 억울한 게 참 많다. 한국 식약청은 기준이 굉장히 까다로워 문제가 될만한 식품을 시장에 내놓지 못하게 막기 때문이다. 그러나 쓰레기만두는 그 억울함의 정도를 넘어섰다. ‘불량’도 아닌 … [Read more...] about 기업과 유명인을 위기로 몰아놓은 대표적 오보 TOP 7
심플이란 무엇인가?
심플함을 사랑한다 심플, 요즘 가장 유행하는 말 중 하나다. 애플은 아이폰을 위시한 심플한 디자인의 제품으로 큰 인기를 끌고 있다. 잡스는 자신의 '만트라'가 '집중' 그리고 '심플함'이라고 말했다. 또한 그는 그림의 원형을 제외하고 모든 것을 지운 마크 로스코의 심플한 그림을 사랑했다. 마크 로스코의 그림을 사랑한 랩퍼 빈지노는 마크 로스코를 주제로 삼은 윤종신의 곡 'The Color'에 피처링했다. 여기서 빈지노는 랩으로 심플함의 가치에 대해 말한다. 이렇게 현대 사회의 창작자들은 … [Read more...] about 심플이란 무엇인가?
한국 게임산업은 왜 안 되는가
전자신문에 재밌는 기사가 났더랬다. '문화융성, 게임을 앞장세우자'라는 제목의 기사로, 한국이 중국에 뒤처지기 시작했는데 이걸 되돌리기 위해 게임산업을 중흥해야지 않겠냐는 취지의 기사다. 기사 중 특별히 흥미로운 부분이 있었다. 요즘 국내 게임사의 가장 큰 고민은 쓸 만한 인재를 찾기 어렵다는 것이다. 새로운 활력이 돼야 할 신입 개발자를 구하는 데 애를 먹는다. 능력 있는 젊은 개발자들이 게임업계를 취업 후순위에 두기 때문이다. 10여 년 만에 닥친 이 같은 변화는 게임업계가 예전만큼 … [Read more...] about 한국 게임산업은 왜 안 되는가
유능한 해커가 많아지면 사이버 보안 강국이 될 수 있을까?
어렸을 때 람보를 보고 그런 상상을 했었다. 전 국민이 람보라면 단숨에 북한 때려 부수고, 독도를 자꾸 자기네 땅이라고 우기는 일본도 혼구멍을 내줄 텐데... 과연? 전 국민이 람보가 될 수 있는지는 둘째 치고, 과연 그랬다면 우리의 소원인 통일이 진작에 이뤄졌을까? 람보는 그린베레라는 미군 특수부대원이었다. 특수부대는 전쟁 시작 전 또는 초기 적진에 잠입하여 주요 시설물을 파괴하거나 요충지 점거 등을 통해 전쟁을 유리한 방향으로 이끄는, (일반적인 군대와 다른) 말 그대로 '특수'한 … [Read more...] about 유능한 해커가 많아지면 사이버 보안 강국이 될 수 있을까?
구글이 로고를 바꿨다
구글이 로고를 바꿨다. 구글처럼 큰 회사가 로고를 바꿀 때는 대개 그럴 만한 이유가 있다. 곧 언론에서 디자인 비평과 함께 해석을 쏟아내겠지만, 이유는 분명해보인다. 1. 구글의 CI의 근본은 쿼키함(quirkiness)다. 엔지니어들이 만들어 기존 기업들과 전혀 다른 방식으로 작동한다는 걸 나타내는 요소는 세 가지: Google이라는 장난스런 이름 아이들 장난감 같은 4색 세리프 사용 특히 주목해야 할 것은 3번이다. 자동차 회사 같은 전통기업도 … [Read more...] about 구글이 로고를 바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