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승환: 자기소개를 부탁드립니다. 김필립: 미국에서 디벨로퍼로 일하던 김필립입니다. 트럼프가 했던 일하고 비슷한데 사이즈는 더 작은, 그런 걸 생각하면 됩니다. 부동산의 A-Z까지 모두 다한다는 부동산계의 일론머스크를 꿈꿉니다. 최근에는 모 그룹 자산시설관리 경영전략 고문을 맡고 있습니다. 이승환: 코로나의 부동산 시장에 대한 영향은 어떻게 보십니까? 김필립: 아직은 정말 큰 영향이 없습니다. 실물경제가 부동산에 영향을 주기까지는 시차가 좀 있기 때문이지요. 지금 직격탄은 가게 … [Read more...] about 부동산, 상권보다는 사무공간·빌딩이 더 문제… 화이트칼라도 해고에서 자유롭지 않다: 김필립 인터뷰
인터뷰
“코로나19는 세계에서 다 끝나야 끝나는 것이다, 아무리 빨라도 8~9월 예상” 테라젠바이오 김태형 수석연구원 인터뷰
이승환: 자기소개를 부탁드립니다. 김태형: 유전체 기반으로 신약을 개발하고 있는 김태형입니다. 최근 코로나 때문에 데이터 분석하느라 일이 더 많아지고 있습니다. 이승환: 전 세계적으로 코로나 감염 차이가 큽니다. 무엇 때문인지요? 김태형: 두 가지인데, 먼저 사회적 긴장의 차이가 가장 큽니다. 감염이 빠르게 늘지 않고 있는 한국을 비롯한 대만, 일본, 싱가폴 등 아시아권 국가는 국민들이 마스크를 많이 쓰죠. 서양은 이런 인식이 약했습니다. 이승환: 다음은 … [Read more...] about “코로나19는 세계에서 다 끝나야 끝나는 것이다, 아무리 빨라도 8~9월 예상” 테라젠바이오 김태형 수석연구원 인터뷰
“좋든 싫든 돈을 뿌리고 경기를 살려야 한다, 코로나19가 지진이라면 수출 부진은 쓰나미”: 외국계 애널리스트 인터뷰
코로나 직접 타격이 지진이었다면, 정말 무서운 건 수출 부진 쓰나미 이승환: 자기소개를 부탁드립니다. 애널리스트: 외국계 어디서 일하고 있는 애널리스트입니다. 이승환: 이 파국을 어찌 보십니까? 애널리스트: 현재 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2가지로 나눠볼 수 있습니다. 첫째는 사회적 거리두기로 인한 내수 타격입니다. 사실, 한국은 코로나에 의한 1차적 내수 충격은 전 세계와 비교해서는 상대적으로 약한 편입니다. 중국은 2월~3월 중순 완전히 경제를 멈추다시피 했고, 유럽은 밖으로 … [Read more...] about “좋든 싫든 돈을 뿌리고 경기를 살려야 한다, 코로나19가 지진이라면 수출 부진은 쓰나미”: 외국계 애널리스트 인터뷰
“전 세계 셧다운 타격, 외식, 항공, 숙박 등 박살 난 업계에 비용 지원해야”: 모 정당 당수 인터뷰
주식시장을 망가뜨린 두 요인: 코로나와 유가 전쟁 이승환: 자기소개를 부탁드립니다. 당수: 모 정당의 당수입니다. 이번 총선은 불출마할 계획입니다. 이승환: 주가가 왜 이리 개판인가요? 당수: 두 가지 원인이 있습니다. 당장은 중국의 코로나 충격입니다. 중국의 2월에 소매 판매가 40%, 외식이 80% 줄었습니다. 출근도 못 하니 생산도 30% 줄었죠. 전체 경제활동이 70% 수준으로 위축됐습니다. 사실상 중국은 2월 경제를 셧다운한 셈입니다. 1개월간 셧다운으로 경제성장률은 … [Read more...] about “전 세계 셧다운 타격, 외식, 항공, 숙박 등 박살 난 업계에 비용 지원해야”: 모 정당 당수 인터뷰
“코로나로 신뢰 잃어버린 시진핑, 국난 극복한 지도자로 홍보하며 재기”: 연합뉴스 중국 특파원 인터뷰
사고 터지면 지자체장이 모가지라 방역에 모든 걸 거는 중국 지방 정부 이승환: 자기소개를 부탁드립니다. 금진방: 연합뉴스 중국 금진방 특파원입니다. 이승환: 현재 중국 상황은 어떤가요? 금진방: 믿을 수 있느냐는 차치하고, 중국 정부 통계만 놓고 보면 종식 직전까지 갔…다가, 글로벌 팬데믹이 와서 외부에서의 유입에 골머리를 앓습니다. 코로나를 수출했다가 역수입하는 셈이죠(…) 이탈리아나 한국과는 상황이 다른 게, 한 번 유행했다가 재발하면 꽤 공산당 리더십과 경제에 영향이 클 … [Read more...] about “코로나로 신뢰 잃어버린 시진핑, 국난 극복한 지도자로 홍보하며 재기”: 연합뉴스 중국 특파원 인터뷰
“진짜 문제는 또라이 지도자들, 금융위기처럼 공조 없으면 줄도산”, 국제관계 전문가 인터뷰
이승환: 자기소개를 부탁드립니다. 국제학 덕후: 역사 덕후로 살다 보니 국제학 덕후로 진화한 흔한 덕후입니다. 이승환: 지금 상황을 어떻게 보십니까? 국제학 덕후: 코로나는 금방 끝날 문제가 아니라고 봅니다. 지금처럼 겨우 제어하는 유지 되면 그나마 다행이고, 언제 확진자가 확 늘어도 이상하지 않은 상황이지요. 이승환: 기존 금융위기와 비교하면 어떤가요? 국제학 덕후: 과거처럼 금방 잠잠해지지 않을 것입니다. 기존의 판데믹 예상은 1) 위생 상태가 좋지 않은 … [Read more...] about “진짜 문제는 또라이 지도자들, 금융위기처럼 공조 없으면 줄도산”, 국제관계 전문가 인터뷰
“한국은 과잉대응이 아니다, 2차 유행 없도록 더욱 조심할 때”: 한림대 감염내과 이재갑 교수 인터뷰
한국의 대응은 절대 과잉대응이 아니다 이승환: 자기소개를 부탁드립니다. 이재갑: 한림대 감염내과 이재갑 교수입니다. 이승환: 전 세계 40–70%가 감염된다는 기사도 떴던데… 코로나19는 막을 수 있는 병인가요? 이재갑: 그 기사는 국가들이 적절한 컨트롤을 안 했을 상황을 가정한 겁니다. 모델링 방식에 따라 감염률은 다르게 예상되는데, 이미 낙관적 전망은 거의 사라졌습니다. 백신이 제때 나오지 않으면, 몇 년 흘러 정말 많은 인구가 감염될 가능성도 없지는 않습니다. 다만 국가마다 … [Read more...] about “한국은 과잉대응이 아니다, 2차 유행 없도록 더욱 조심할 때”: 한림대 감염내과 이재갑 교수 인터뷰
“2008년과 달리 실물 경제 위기, 기업들이 운영자금을 위해 달러만 찾는 것” 여의도 20년 금융인 인터뷰
미국을 중심으로 한 버블, 꺼지기 시작했다 이승환: 자기소개를 부탁드립니다. 고길동: 금융시장에서 오래 일했습니다. 도봉구 쌍문동에서 중형 자동차를 몰고 여의도로 출근합니다. 이승환: 미국이 돈을 뿌리는데도 왜 주식은 떨어지나요? 고길동: 주식 시장과 실물 경제는 좀 다릅니다. 주식에서 많이 먹었으면 당연히 팔고 싶겠죠? 미국은 10년간 너무 올라서 팔고 싶을 겁니다. 한국은 10년간 먹지도 못했지만(…) 미국과 중국 수출로 먹고살기에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습니다. 한국 주식은 … [Read more...] about “2008년과 달리 실물 경제 위기, 기업들이 운영자금을 위해 달러만 찾는 것” 여의도 20년 금융인 인터뷰
“여전히 사회적 거리두기에 미흡한 일본, 아베의 욕심과 정치 무관심의 산물” 이헌모 교수 인터뷰
코로나에 상대적으로 느슨한 긴장감의 일본 이승환: 자기소개를 부탁드립니다. 이헌모: 일본에서 교수 생활을 하는 이헌모입니다. 이승환: 일본의 코로나 분위기는 어떻습니까? 이헌모: 일본인들도 더 많은 확진자가 있지 않을까 불안감이 있습니다. 오늘 야후재팬의 뉴욕 확진자 1만 명 뉴스에도 “뉴욕이 1만 명인데 도쿄가 이 정도 숫자인 게 상식적으로 말이 안 된다”는 댓글이 있더라고요. 하지만 고열이 4일 이상 이어진다든가 자가 증상이 심했을 때 비로소 병원을 가고, 의사가 코로나를 … [Read more...] about “여전히 사회적 거리두기에 미흡한 일본, 아베의 욕심과 정치 무관심의 산물” 이헌모 교수 인터뷰
“코로나와 함께 실업도 대확산, 국가가 나서야 한다” 국제노동 전문가 인터뷰
2차 대전 이후 가장 끔찍한 노동의 위기가 올 수 있다 이승환: 자기소개를 부탁드립니다. 노동 전문가: 스위스 어딘가에서 노동 연구하는 사람입니다. 이승환: 이번 코로나 사태를 전 세계적 가장 큰 노동위기로 봅니까? 노동 전문가: 100%는 없지만, 2차 대전 후 생긴 가장 큰 위기의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승환: 2차 대전 이후로는 노동 위기가 별로 없었다? 노동 전문가: 70년대 석유 파동을 비롯해 위기는 계속 있었습니다. 하지만 2008년 금융위기도 전 세계적 … [Read more...] about “코로나와 함께 실업도 대확산, 국가가 나서야 한다” 국제노동 전문가 인터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