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량 투자에 입문하시는 분들(다양한 스타일이 있겠습니다만)이 처음에 접하는 것 중에 하나는 인덱스 펀드입니다. 그러나 보통 인덱스 펀드에 만족하지 않습니다. 조금만 자산군의 데이터에 관심을 갖게 돼도 인덱스 펀드만을 보유하는 것이 얼마나 위험한지 발견하게 되거든요. 그들의 첫 번째 시도는 채권을 섞는 것입니다. 이렇게 해서 만들어지는 게 (현명한 투자자에서도 언급되었던) 주식-채권 자산 배분 전략입니다. 60/40이 지금까지는 가장 무난한 전략으로 인정받고 있죠. 그러다가 사람들은 주식과 … [Read more...] about 최고의 투자 전략을 찾아서
경제
지금 만든 연금저축, 은퇴할 때 ‘4억 5천’으로 불어나는 이유: 『마법의 연금 굴리기』 저자 김성일 님 인터뷰
최기영(ㅍㅍㅅㅅ 본부장, 이하 최): 이 책은 왜 쓰시게 된 거예요? 김성일: 2년 전에 『마법의 돈 굴리기』라는 자산 배분 투자, 포트폴리오 투자에 대한 책을 썼어요. ETF라는 상품을 이용해서 자산 배분 투자를 하면 변동성과 최대 낙폭을 안정적으로 관리하면서 적정한 수익을 얻을 수 있다는 내용과, 그 근거들을 분석한 내용들에 대해서 썼죠. 최: 『마법의 돈 굴리기』는 명저죠… 그런데 왜 이번에는 연금인가요? 김성일: 그 이후에도 많은 분과 소통했어요. 그중 금융상품에 … [Read more...] about 지금 만든 연금저축, 은퇴할 때 ‘4억 5천’으로 불어나는 이유: 『마법의 연금 굴리기』 저자 김성일 님 인터뷰
수익을 위해서는 손실을 감수해야 한다
※ A Wealth of Common Sense의 「To Win You Have to be Willing to Lose」를 번역한 글입니다. 요즈음 시장에는 두 가지 유형의 투자자가 있다(극단적인 일반화긴 하지만). 다음 5–10%의 시장 조정이 언제 일어날지 고민하면서 시간을 보내는 투자자. 시장 조정 또는 약세장의 위험을 걱정하지 않으면서 태평스럽게 시간을 보내는 투자자. 이런 두 가지 입장은 모두 잠재적으로 위험하다. 시장의 움직임에 과도한 반응을 보일 수 … [Read more...] about 수익을 위해서는 손실을 감수해야 한다
자녀 성적이든 투자 포트폴리오든 빈번한 확인은 득보다 실이 크다
※ A Teachable Moment의 「Warning! Frequently Checking Kid’s Grades Or Your Portfolio Is Bad For Your Health And Wealth」를 번역한 글입니다. 공부와 투자에는 지름길이 없다 장기적으로 긍정적인 결과를 얻을 수 있는 열쇠는 좋은 과정이지, 일시적인 결과가 아니다. 단기적인 소음에 초점을 맞추면 자산 증식은 물 건너간다는 사실은 충분히 입증되었다. 자녀가 공부를 좋아하게 하는 게 아니라 단기적인 … [Read more...] about 자녀 성적이든 투자 포트폴리오든 빈번한 확인은 득보다 실이 크다
직접 해본 재테크 공부 3단계
제 글이 전혀 이해가 안 가는데 어찌 공부해야 하느냐고 묻는 분들이 제법 계셔서 저 나름대로 공부했던 방법들을 나열해봅니다. 고수분들은 그냥 패스하셔도 되는 글입니다. 제 방법이 정답은 아니지만 '아, 이렇게도 했구나' 정도로 봐주시면 될 듯합니다. 1. 기본 개념 잡기 일단 경제의 기본 개념을 잡아야 합니다. 이게 어찌 보면 가장 오래 걸리고, 어려운 부분일 수도 있습니다. 경제가 어떻게 순환했는지, 브레튼우즈 체제가 뭔지, 플라자 합의가 뭔지, 서브프라임 모기지가 도대체 … [Read more...] about 직접 해본 재테크 공부 3단계
돈의 의미
※ Four Pillar Freedom의 「Why Money is Everything」을 번역한 글입니다. 돈을 우선시하는 게 '탐욕'만이 아닌 이유 조 로건과 나발 라비칸트의 인터뷰를 들어보면, 나발의 이런 말이 나온다. 조 당신은 비록 한 명의 인간에 불과하지만, 실제로는 좋든 싫든 전 우주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그러면서 나발은 외계인이 찾아와서 다음과 같이 대화하는 모습을 상상해 보라고 한다. 외계인: “저것은 무엇인가?” 인간: “조 로건이다.” 외계인: “조 … [Read more...] about 돈의 의미
‘왜 제조업 르네상스인가’: 산업공유지, 미국 제조업의 쇠퇴, 부울경 제조업의 활성화
개리 피사노와 윌리 시의 『왜 제조업 르네상스인가』(지식노마드)를 봤다. 제조업의 중요성, 쇠퇴 원인, 대안을 다룬다. 약 200페이지 분량의 얇은 책이다. 내용도 쉬운 편이다. ‘지식노마드’는 이정동 교수의 『축적의 시간』과 『축적의 길』을 낸 출판사다. ‘제조업 정책 담론’의 활성화를 위해 출판한 것만으로도 칭찬받을 일을 했다고 생각한다. 전체를 통틀어 ‘독창적인’ 논지라고 생각되는 것은 크게 두 가지다. ① 산업공유지 개념, ② 설계와 제조의 분리 여부에 관한 판단기준으로 … [Read more...] about ‘왜 제조업 르네상스인가’: 산업공유지, 미국 제조업의 쇠퇴, 부울경 제조업의 활성화
자본주의의 몰락이 다가왔다고?
가끔 여기저기 번역하는 Marketwatch의 기사 「Death of 'Soul of Capitalism': Bogle, Faber, Moore」를 번역해보았습니다. 원제를 직역하면 ‘자본주의 영혼의 죽음’인데, 영혼의 죽음보다 자분주의의 몰락이라는 표현이 더 자연스러워 보여서 의역했습니다. 이 기사에서는 자본주의의 몰락에 다양한 근거를 제시합니다. 몇 가지 추려보면, 미국은 외채가 너무 많아서, 결국 외국은 미국 채권을 갑자기 팔기 시작할 수밖에 없을 것이다. 그것을 팔기 … [Read more...] about 자본주의의 몰락이 다가왔다고?
소매업의 종말: 이발소에서 들은 이야기
저는 서민답게 이발을 동네 나이스가이에서 8,000원 내고 합니다. 추석 직전 휴가 때 한가한 나이스가이에서 이발을 했는데, 이용사 아저씨와 아주머니께서 잡담하시더군요. 아주머니: 아는 백화점 사람이 그러는데 이번 추석이 역대 최악이래. 손님이 아예 없대. 아저씨: 그걸 누구 탓을 해야 하나? 아주머니: 뭐 문재인 탓을 해야지. 아저씨: (웃으며) 그게 그 사람 탓인가? 요즘 누가 백화점에서 사나? 다 온라인에서 사지 않아? 아주머니: (웃으며) 그래도 탓할 사람이 … [Read more...] about 소매업의 종말: 이발소에서 들은 이야기
『중공업 가족의 유토피아』: 글로벌 경기 변동과 한국 조선업의 흥망성쇠
1. 양승훈 교수의 『중공업 가족의 유토피아』를 드디어 봤다. 320쪽, 3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체감 분량은 250쪽 정도에 가깝다. 판형이 작고 주간지-월간지처럼 르포형 서술이기에 쉽게 읽힌다. 내용을 볼 때 산업도시 거제와 조선업에 관한 문화 사회학에 가까운 책이다. 저자 생각인지 편집자 생각인지는 모르겠지만 ‘중공업 가족’ 및 ‘산업도시 거제’를 부각한 출판 전략은 매우 적절했다. 양승훈 교수는 거제 대우조선에서 5년간 근무했고, 학부는 정치학, 대학원은 문화인류학을 전공했다. 책 … [Read more...] about 『중공업 가족의 유토피아』: 글로벌 경기 변동과 한국 조선업의 흥망성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