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kip to content
  • Skip to secondary menu
  • Skip to primary sidebar
  • Skip to footer

ㅍㅍㅅㅅ

필자와 독자의 경계가 없는 이슈 큐레이팅 매거진

  • Home
  • 스타트업
    • 마케팅
    • 투자
  • 시사
    • 경제
    • 국제
    • 군사
    • 사회
    • 언론
    • 역사
    • 정치
    • 종교
  • 문화
    • 게임
    • 교육
    • 덕후
    • 만화
    • 스포츠
    • 애니
    • 연예
    • 영화
    • 인문
    • 음악
    • 책
    • 학문
  • 테크
    • IT
    • SNS
    • 개발
    • 공학
    • 과학
    • 디자인
    • 의학
    • 환경
  • 생활
    • 건강
    • 부모
    • 성인
    • 여행
    • 영어
    • 음식
    • 패션
  • 특집
    • 개드립
    • 인터뷰
  • 전체글

우리를 빡치게 하는 틀린 맞춤법 Top 10

2014년 2월 7일 by 맞춤법요정

안녕하세요. 틀린 맞춤법이 범람하는 SNS에서 오늘도 고통받는 페이스북의 맞춤법요정입니다. 가끔 ‘맛춤법 따위가 뭐가 중요하냐? 뜻만 통하면 돼지’ 라고 하는 자유로운 분들도 계시지만 기본적인 맞춤법을 틀리면…

연애도 힘들고
연애도 힘들고…
그래서 연애에 서툰 복학생 오빠가 되어버리고...
그래서 연애에 서툰 복학생 오빠가 되어버리고…
또한 취직도 안 되어서 결국 가정이 무너지고 사회가 무너집니다!!
또한 취직도 안 되어서 결국 가정이 무너지고 사회가 무너집니다!

사소해 보이는 맞춤법 실수 때문에 벌어질 수 있는 이런 파국을 막고자 자주 틀리는 맞춤법을 바로잡아 드리려 합니다.

 

1. ‘돼’와 ‘되’

‘돼’는 ‘되어’의 준말이므로 ‘되어’로 풀 수 있는 것만 ‘돼’의 형태로 줄여 적을 수 있습니다.

f0362863_52c1c5a524584

  • 그래도 ‘돼’요? → 그래도 ‘되어’요? (o)
  • 그러면 안 ‘돼’지. → 그러면 안 ‘되어’지. (x)

 

2. ‘않’과 ‘안’

‘않’은 ‘아니하’의 준말이고 ‘안’은 ‘아니’의 준말입니다. ‘않’과 ‘안’ 대신 각각 ‘아니하’와 ‘아니’를 넣어보고 어색하지 않은 것을 고르면 됩니다.

f0362863_52c1caf29f05d

  • 옳지 ‘않’다 → 옳지 ‘아니하’다. (O) / 옳지 ‘아니’다. (X)
  • 숙제를 ‘안’ 했어 → 숙제를 ‘아니’ 했어. (O) / 숙제를 ‘아니하’ 했어. (X)

 

3. ‘결제’와 ‘결재’

손석희 사장님에게 보고서 승인받는 건 ‘결재(決裁)’고 손석희 사장님이 카드 긁는 건 ‘결제(決濟)’입니다.

f0362863_52e00df91a36c

  • 보고서를 결재(決裁)하다.
  • 카드 대금을 결제(決濟)하다.

 

4. ‘드러나다’와 ‘들어나다’

‘가려 있거나 보이지 않던 것이 보이게 되다.’, ‘알려지지 않은 사실이 널리 밝혀지다.’ 의 뜻을 가진 단어는 ‘드러나다’ 입니다. ‘들어나다’는 사전에 없는 단어입니다.

이미지 출처 : http://gall.dcinside.com/board/view/?id=hit&no=12004
이미지 출처: 여기
  • 썰물 때는 드넓은 갯벌이 드러난다.
  • 진실은 반드시 드러난다.

 

5. ‘어떻게’와 ‘어떡해’

‘어떻게’는 ‘어떠하게’가 줄어들어 부사적으로 쓰이는 말이고 ‘어떡해’는 ‘어떻게 해’라는 구가 줄어든 말입니다. 역시 ’어떻게‘와 ’어떡해‘ 대신 각각 ’어떠하게‘와 ’어떻게 해‘를 넣어보고 어색하지 않은 것을 고르면 됩니다.

f0362863_52c1c9d90648a

  • ‘어떻게’ 지내? → ‘어떠하게’ 지내? (O) / ‘어떻게 해’ 지내? (X)
  • 약속을 못 지켜 ‘어떡해’ → 약속을 못 지켜 ‘어떻게 해’ (O) / 약속을 못 지켜 ‘어떠하게’ (X)

 

6. ‘꺼’와 ‘거’

‘거’는 ‘ 명사 ‘것’을 구어적으로 이르는 말로서 경음화되어 [꺼]로 소리 나더라도 ‘거’로 적습니다.

f0362863_52e01daadfec6

  • 이 인형은 내 거야!

 

7. ‘뇌졸증’과 ‘뇌졸중’

뇌에 혈액 공급이 제대로 되지 않아 손발의 마비, 언어 장애, 호흡 곤란 따위를 일으키는 증상은 ‘뇌졸증(腦卒症)이 아니라 ‘뇌졸중(腦卒中)’입니다. 참고로 ‘뇌졸증(腦卒症)’은 ‘뇌졸중’의 북한어입니다.

이미지 출처 : http://www.northwestmedicalcenter.com/Services/Pages/Stroke%20Center.aspx
이미지 출처: 여기

 

8. ‘댓가’와 ‘대가’

대가(代價)와 같이 ‘한자+한자’로 이루어진 합성어에는 사이시옷을 쓰지 않습니다. 다만 ‘곳간(庫間), 셋방(貰房), 숫자(數字), 찻간(車間), 툇간(退間), 횟수(回數)’ 는 예외입니다.

f0362863_52ed1b6093fcc

 

9. ‘불구하다’와 ‘불고하다’

‘염치 불고하다’라는 표현은 ‘불고염치(不顧廉恥)’에서 나온 것으로 ‘(염치가 없지만 그보다 더 중한 일 때문에) 염치를 돌아보지 아니하다’는 뜻입니다. 반면에 ‘불구(不拘)하다’는 ‘얽매여 거리끼지 아니하다.’라는 뜻을 가진 단어로 ‘-에도/-음에도 불구하고’ 구성으로 쓰입니다.

이미지 출처 : http://talk.imbc.com/news/view.aspx?idx=29910
이미지 출처: 여기
  • 염치 불고하고 한 말씀 올리겠습니다.
  • 강추위에도 불구하고 편의점에 다녀왔다.

 

10 . ‘-던지’와 ‘-든지’

‘-던지’는 지난 사실을 돌이켜 서술하여, 문장을 이어주거나 끝맺을 때 사용하고

‘-든지’는 어느 것이 선택되어도 차이가 없는 둘 이상의 일을 나열함을 나타내거나 나열된 동작이나 상태, 대상들 중에서 어느 것이든 선택될 수 있음을 나타내거나 실제로 일어날 수 있는 여러 가지 중에서 어느 것이 일어나도 뒤 절의 내용이 성립하는 데 아무런 상관이 없음을 나타내는 데 사용합니다.

f0362863_52c1c5abae317

  • 아이가 얼마나 밥을 많이 먹’던지’ 배탈 날까 걱정이 되었다. (회상)
  • 노래를 부르든지 춤을 추든지 간에 네 맘대로 해라. (선택)

P.S 맞춤법요정 탄생에 영감을 준 기성용 선수, 감사합니다.

sprinkle nutmeg over the top and garnish with chocolate shavings
valentino outletFashionable PumpEase and PumpEase Petite Hands

Filed Under: 교육, 생활

필자 맞춤법요정 twitter facebook

직업 네티즌. 올바른 국어 사용을 위한 게시글을 올립니다.

Primary Sidebar

SPONSORED

RECOMMENDED

Footer

ㅍㅍㅅㅅ

등록번호: 서울, 아03293
등록일자: 2014년 8월 18일
제호: ㅍㅍㅅㅅ
발행인: 이승환
편집인: 이승환
주소: 서울특별시 서초구 강남대로 369 12층
발행일자: 2014년 8월 18일
전화번호: 010-2494-1884
청소년보호책임자: 이승환
Privacy Policy

Copyright © 2025 · Magazine Pro on Genesis Framework · WordPress · Log in